안드로이드에서 OpenGL ES를 사용하려면 가장 간단하게 GLSurfaceView를 사용하면 된다.GLSurfaceView를 생성하고 GLSurfaceView.Renderer를 구현하면 기본적인 뼈대가 완성 된다.아래의 예제는 화면을 빨간색으로 지우는 단순한 예제이다. package com.duongame.opengl; import android.opengl.GLSurfaceView;import android.support.v7.app.AppCompatActivity;import android.os.Bundle; public class MainActivity extends AppCompatActivity { GLSurfaceView glSurfaceView; @Override protected void..
NVIDIA와 INTEL 그래픽카드는 데스크탑에서 EGL을 사용할수 없다. 그러므로 OPENGL ES를 사용할수 없다.AMD는 EGL을 통해서 데스크탑 OPENGL ES를 구현하고 있다. Using OpenGL ES on desktops differs from IHV to IHV. While NVIDIA and Intel expose OpenGL ES on desktop via WGL/GLX extensions (e.g. http://opengl.delphigl.de/gl_listreports.php?listreportsbyextension=WGL_EXT_create_context_es_profile), AMD exposes it through EGL.
윈도우10을 설치후 CMOS BIOS에서 인텔 가상화를 활성화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가상화가 안되는 경우가 있다. 인텔의 가상화 여부는 다음의 프로그램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http://www.intel.com/content/www/us/en/support/processors/000005651.html 만약에 위의 부분이 No로 되어 있다면 실제 윈도우10 상에서 가상화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그렇게 되면 VirtualBox 등 가상화 프로그램에서 CPU가속을 받을수 없다. 그래서 CMOS에서 셋팅을 하였더라도 가상화 확인이 실패하면 다음과 같이 하여서 가상화를 활성화 시켜야 한다.[제어판] - [프로그램 및 기능] - [Windows 기능 켜기/끄기]에서 Hyper V를 제거한다.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