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얼포스 86UKB를 아이맥에 연결해서 사용하다가 도저히 윈도우 키와 한영전환이 불편하여 339,000원을 주고 구매대행으로 구매하였다. 기존의 리얼포스 86UKB는 15만원에 중고로 판매하였다. 기존에 사용하던 리얼포스는 차등 키압이었는데 이번에는 균등위주로 구매하자고 해서 45g, 30g에 대해서 고민을 많이 했는데 최근에 균등을 써본 회사 동료의 도움을 받아 45g을 구매했고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무엇보다도 맥과 동일한 키배열로 한영전환이 너무 편하고, F1~F15 기능키로도 볼륨조절이나 밝기조절이 가능해서 정말 편리하다. 이전에는 윈도우 전용 키보드라서 맥용 매직키보드를 두고서 2개를 번갈아 가며 사용했다. 단 하나 처음에는 단점이 있었는데 아이맥+외장모니터일때 F1/F2 밝기 조절이 메인 모니터..
Visual Studio Code를 맥에서 C++ 에디터 용도로 사용했다. 왜냐면 아직 맥에서는 Visual Studio가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얼마전에 Visual Studio for Mac이 나왔다.) Visual Studio Code가 Mac에서 가지는 장점은 다음과 같다. 1. F12로 Definition으로 Go가 가능하다. Visual Studio에 있는 기능이다. 2. Home, End키가 윈도우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이게 정말 유용한 기능이다. 맥에서는 Home, End가 줄의 시작과 끝이 아니라 문서의 시작과 끝으로 간다. 그런데 Visual Studio Code를 사용함으로서 윈도우와 동일하게 동작하게 된다. 에디팅시에 정말 편리하다. 그래서 Visual Studio Code를 맥에..
인터넷에 안드로이드 FFmpeg 빌드하기 내용을 찾아봤보았다. 거의다 Linux거나 Windows의 cygwin으로 빌드하는 방법이 나온다. 그런데 MacOSX에서도 직접 빌드가 가능하다. 그리고 예전의 버전들에 비해서 빌드가 한결 간편해 졌다. 사용하는 버전은 다음과 같다. Android NDK: r11c ffmpeg: 3.0.2 MacOSX: El Capitan 10.11.5 먼저 다음 디렉토리에 ffmpeg 소스를 받아서 압축을 푼다. ~/android-ndk-r11c/sources/ffmpeg-3.0.2$ 그리고 다음과 같이 config.sh를 만들어서 실행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다른 예제에서는 --target-os=linux로 설명하는데 안드로이드가 리눅스라도 그냥 빌드하게되면 .so파일 뒤..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