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oid Studio 3.1에서 새로운 프로젝트 생성시 Kotlin Support를 활성화한 후 생성하면 다음과 같이 gradle sync가 에러나는 경우가 있다. Unable to resolve dependency for ':app@debug/compileClasspath': Could not resolve org.jetbrains.kotlin:kotlin-stdlib-jre7:1.2.41.Open FileShow Details Unable to resolve dependency for ':app@debugAndroidTest/compileClasspath': Could not resolve org.jetbrains.kotlin:kotlin-stdlib-jre7:1.2.41.Open FileSho..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3.0이 출시되었다.기존의 프로젝트들은 잘 동작하는데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였다면 새로운 프로젝트는 컴파일이 안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Unable to resolve dependency for ':app@debug/compileClasspath': Could not resolve com.android.support:appcompat-v7:26.0.0.Unable to resolve dependency for ':app@debugAndroidTest/compileClasspath': Could not resolve com.android.support.test:runner:1.0.1.... 이는 gradle plugin 버전이 3.0으로 높아졌고, gradle wrapper 버전이 4...
윈도우에서 NVIDIA GeForce를 사용하는 경우에 Android Studio에서 Alt+F7 단축키가 동작을 안하는 경우가 있다.원인은 게임에 도움이 되는 GeForce Experience라는 툴이 Alt+F7을 단축키로 사용하고 있어서 충돌을 일으키는 것이다.그럴때는 다음과 같이 해당 단축키를 중지해보자. 먼저 NVIDIA GeForce Experience을 열자. (At first, Open NVIDIA GeForce Experience Control Panel) 그런다음 설정에 들어가서 공유라는 항목을 아래와 같이 꺼주자. (Let's disable 'Share' function in Settings Menu) 그러면 그 다음부터는 Android Studio에서 Alt+F7 기능이 동작할 것이..
Target중에서 외부에서 사용하는 것은 Build, Rebuild, Clean이 있는데 이것을 커스터마이즈하는 가장 쉬운 방법은 BuildDependsOn, RebuildDependsOn, CleanDependsOn이라는 property를 다음과 같이 수정해 주면된다. 아래의 예제에서는 전체 BuildDependsOn Target을 수행하기전에 DependsBuild라는 Target을 먼저 수행한후에 하라는 예제이다. DependsBuild는 물론 로 정의되어야 한다. DependsBuild;$(BuildDependsOn); DependsClean;$(CleanDependsOn); 내부의 Build과정에 대해서는 수많은 복잡한 Import되는 MSBuild에서 제공하는 props와 targets가 있지..
- Total
- Today
- Yesterday